2025년 최저임금 및 주휴수당
시간급 | 10,030원 |
인상률 | 1.7% (2024년 대비 170원 인상) |
주휴수당 포함 시급 | 12,036원 |
월 급여 (209시간 기준) | 2,096,270원 |
연봉 | 2,515만 5,240원 |
적용 대상 | 1인 이상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 |
시행일 | 2025년 1월 1일 |
확정 일자 | 2024년 8월 5일 |
2025년 최저시급 및 주휴수당 개요
2025년 최저시급은 10,030원으로, 2024년 대비 1.7% 상승해 드디어 1만 원을 넘게 되었습니다.
이는 근로자들이 최저시급 상승을 통해 생활비 일부를 충당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적 지원입니다.
주휴수당을 포함하면 시급은 12,408원으로 산정되며, 주 40시간 근무를 기준으로 월 최저급여는 2,096,270원에 달합니다.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결근 없이 주 1회 이상 유급휴일을 보장받는 근로자들에게 지급됩니다.
따라서, 하루 8시간씩 주 5일 근무하는 근로자라면 한 달 동안 약 35시간의 주휴 시간이 추가되며, 그 시간에 대한 보상으로 주휴수당이 주어집니다.
주휴수당 계산 방법 및 적용
주휴수당은 최저시급과 주간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주 40시간 근무를 하는 근로자의 경우, 주 8시간의 주휴수당을 추가로 받게 됩니다.
이에 따라 월 소정근로시간 174시간에 주휴 시간 35시간을 합산해 월 총 209시간을 기준으로 급여가 산정됩니다.
이는 주휴수당이 포함된 월급이 약 2,096,270원이 되는 방식입니다. 5인 미만의 사업장에서도 주휴수당은 동일하게 적용되며, 15시간 이상 근무 시 주휴수당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최저시급 위반 시 처벌 규정
고용주가 2025년 최저시급 또는 주휴수당을 지키지 않을 경우, 법적으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최대 2천만 원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특히, 주휴수당 미지급에 대한 노동자들의 민원이 증가하면서 근로기준법의 보호 아래 해당 금액의 지급이 더욱 엄격히 관리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와 같은 변화는 사용자 측의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지만, 근로자들의 생계를 보호하고 노동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로 해석됩니다.
관련사이트 추천
main | 최저임금위원회
노사가 Win-Win 할 수 있는 적정한 최저임금 수준과 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근로자에게 희망을, 사업주에게 보람을, 국민에게 신뢰받는 위원회가 되겠습니다.
www.minimumwage.go.kr
고용노동부
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노동시장 구축 일자리 기회는 확대하고 일터 문화는 혁신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이전 슬라이드 다음 슬라이드 자동 넘김 정지 자동 넘김 재
www.moel.go.kr